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A Study on a Symbolic Study of Butterflies
나비에 관한 하나의 상징연구
나비에 관한 하나의 상징연구
Sch. Couns. Sandplay 2019;1(1):5-18.
https://doi.org/10.54084/SCS.2019.1.1.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56
https://doi.org/10.54084/SCS.2019.1.1.5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Sibling members of a Suicide
자살로 형제자매를 잃은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연구
자살로 형제자매를 잃은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연구
Sch. Couns. Sandplay 2019;1(1):31-48.
https://doi.org/10.54084/SCS.2019.1.1.3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94
https://doi.org/10.54084/SCS.2019.1.1.31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tiness and Relationship beliefs
정서적 학대와 관계중독 사이의 관계 : 관계신념과 공허감의 매개효과
정서적 학대와 관계중독 사이의 관계 : 관계신념과 공허감의 매개효과
Sch. Couns. Sandplay 2022;4(2):63-79.
https://doi.org/10.54084/SCS.2022.4.2.6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45
https://doi.org/10.54084/SCS.2022.4.2.63
Clinical Effect of SPT in Adolescents Experiencing Suicidal Events
자살성 사건을 경험한 청소년의 Sandplay Therapy(SPT) 임상효과
자살성 사건을 경험한 청소년의 Sandplay Therapy(SPT) 임상효과
Sch. Couns. Sandplay 2022;4(1):25-44.
https://doi.org/10.54084/SCS.2022.4.1.2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44
https://doi.org/10.54084/SCS.2022.4.1.25

The Effects of School Sandplay Group Counselling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정서·행동 문제에 미치는 효과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정서·행동 문제에 미치는 효과
Sch. Couns. Sandplay 2020;2(1):1-13.
https://doi.org/10.54084/SCS.2020.2.1.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31
https://doi.org/10.54084/SCS.2020.2.1.1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y of Eagle Symbols
독수리의 상징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 연구
독수리의 상징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 연구
Sch. Couns. Sandplay 2021;3(1):27-37.
https://doi.org/10.54084/SCS.2021.3.1.2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12
https://doi.org/10.54084/SCS.2021.3.1.27

A Study on the Symbolism of Turtles in Child's Sandplay
아동의 모래상자에 나타난 거북 상징 연구
아동의 모래상자에 나타난 거북 상징 연구
Sch. Couns. Sandplay 2020;2(1):42-53.
https://doi.org/10.54084/SCS.2020.2.1.42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87
https://doi.org/10.54084/SCS.2020.2.1.42

The Study of Validation of Human Brain Thinking Style(HBTS)
인간 두뇌 사고유형 평가 (Human Brain Thinking Style; HBTS)의 타당화 연구
인간 두뇌 사고유형 평가 (Human Brain Thinking Style; HBTS)의 타당화 연구
Sch. Couns. Sandplay 2021;3(2):98-113.
https://doi.org/10.54084/SCS.2021.3.2.98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81
https://doi.org/10.54084/SCS.2021.3.2.98

A Symbolic Study on Shellfish
조개의 상징에 관한 연구
조개의 상징에 관한 연구
Sch. Couns. Sandplay 2023;5(1):18-33.
https://doi.org/10.54084/SCS.2023.5.1.18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80
https://doi.org/10.54084/SCS.2023.5.1.18

A Case Study of Sandplay Treatment for High School Girls with Depression
우울증을 겪고 있는 여고생의 모래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우울증을 겪고 있는 여고생의 모래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Sch. Couns. Sandplay 2020;2(2):54-70.
https://doi.org/10.54084/SCS.2020.2.2.54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51
https://doi.org/10.54084/SCS.2020.2.2.54

Review: Research Trends in Korean Journal of Sandplay Group Therapy
종설 : 모래놀이 집단치료의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종설 : 모래놀이 집단치료의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Sch. Couns. Sandplay 2021;3(2):66-84.
https://doi.org/10.54084/SCS.2021.3.2.6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51
https://doi.org/10.54084/SCS.2021.3.2.66
The Effects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 Preliminary Study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행동 초등학생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예비연구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자해행동 초등학생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예비연구
Sch. Couns. Sandplay 2021;3(1):16-26.
https://doi.org/10.54084/SCS.2021.3.1.1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21
https://doi.org/10.54084/SCS.2021.3.1.16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Girls' Sand Play Restoring Self-Esteem
자존감을 회복해가는 여중생의 모래놀이 사례연구
자존감을 회복해가는 여중생의 모래놀이 사례연구
Sch. Couns. Sandplay 2019;1(1):49-64.
https://doi.org/10.54084/SCS.2019.1.1.4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8
https://doi.org/10.54084/SCS.2019.1.1.49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for Peer Relation Improvement on the Ego Strength of Children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Sch. Couns. Sandplay 2021;3(1):1-15.
https://doi.org/10.54084/SCS.2021.3.1.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5
https://doi.org/10.54084/SCS.2021.3.1.1
The Effect of Unwanted Sex Consen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Impact of Event: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for female college students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이 외상후 성장과 사건충격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여대생 대상으로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낙이 외상후 성장과 사건충격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여대생 대상으로
Sch. Couns. Sandplay 2023;5(1):1-17.
https://doi.org/10.54084/SCS.2023.5.1.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3
https://doi.org/10.54084/SCS.2023.5.1.1

A Case Study of a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Developing a ‘Self-image’: Focusing on the Work of the Hands in a Sandbox
‘자아상’을 구축해 가는 여중생의 사례연구 : 모래상자에서의 손의 작업을 중심으로
‘자아상’을 구축해 가는 여중생의 사례연구 : 모래상자에서의 손의 작업을 중심으로
Sch. Couns. Sandplay 2020;2(1):29-41.
https://doi.org/10.54084/SCS.2020.2.1.2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06
https://doi.org/10.54084/SCS.2020.2.1.29

Effects of Sand Play Therapy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Adolescents: A Case Study
모래놀이 치료가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모래놀이 치료가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Sch. Couns. Sandplay 2019;1(1):19-30.
https://doi.org/10.54084/SCS.2019.1.1.1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01
https://doi.org/10.54084/SCS.2019.1.1.19

Analysis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in Sandplay Therapeutic Relationships
모래놀이 치료적 관계에서 전이와 역전이 분석
모래놀이 치료적 관계에서 전이와 역전이 분석
Sch. Couns. Sandplay 2022;4(2):80-106.
https://doi.org/10.54084/SCS.2022.4.2.8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8
https://doi.org/10.54084/SCS.2022.4.2.80
The Effect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on the Aggression, Problem Behavior, Impulsiveness,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ostile Peer Relationships: A Preliminary Study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적대적 또래관계를 보이는 초등학생의 공격성, 문제행동, 충동성, 대인관계 특성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적대적 또래관계를 보이는 초등학생의 공격성, 문제행동, 충동성, 대인관계 특성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Sch. Couns. Sandplay 2021;3(2):114-124.
https://doi.org/10.54084/SCS.2021.3.2.114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6
https://doi.org/10.54084/SCS.2021.3.2.114

The multilayer property of symbol and Frog symbol of the ancient Bushman tribe
한국의 벽화, 그림, 문학에 나타난 소의 상징성 중 모성성을 중심으로
한국의 벽화, 그림, 문학에 나타난 소의 상징성 중 모성성을 중심으로
Sch. Couns. Sandplay 2021;3(1):38-49.
https://doi.org/10.54084/SCS.2021.3.1.38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84
https://doi.org/10.54084/SCS.2021.3.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