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ol Counselling and Sandplay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Research Article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혜경1,
Hye-Kyung Lee1,
1충청남도예산교육지원청 Wee센터 전문상담사
1Chungcheongnamdo Yesan Office of Education Wee Center Professional Counselor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 이혜경, (32430)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역전로 126번길 14, 예산교육지원청 전문상담사, Tel : 010-2251-5397, E-mail : dasom-1024@hanmail.net

© Copyright 2021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r 21, 2021; Revised: Apr 08, 2021; Revised: May 10, 2021; Accepted: May 27, 2021

Published Online: Jun 10, 2021

국문초록

본 연구††는 또래관계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충남 Y군 소재의 A, B초등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n=19)과 대기자통제집단(n=17)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을 회기 당 40분씩 주 2회기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고 대기자통제집단에는 아무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또래관계기술 척도」 와 「자아강도 척도」 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업에 이를 적용시키고 보편화하여 자아강도를 높여줌으로써 건강한 자아상을 만들고,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매우 유용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peer relations on children's self-strength. An experimental group (n = 19) and a waiting-list control group (n = 17) were formed for the 3rd and 4th grades of A and B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Y-gun, Chungcheongnam-do. In the experimental group, a peer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2 times, 40 minutes each time, and no treatment was performed in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Peer Relationship Skills Scale” and “Ego Strength Scale”, and the collected data was tested using SPSS 25 for t-test and repeated measure variance analysis of the sampl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peer rela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ego-strength. This suggests that it is very useful in helping to create a healthy ego-image and to form positive peer relationships by applying and generalizing this to school classes to increase ego-strength.

Keywords: 자아강도; 또래관계기술; 집단상담
Keywords: Self-strength; peer relationship skills; group counseling

자아는 인생 전반에 걸쳐 기능적으로 발달한다(Brenner, 1974; 권현미, 2010 재인용, Liebert, & Liebert 1998; 노안영, 강영신, 2003 재인용). 아동기 자아의 발달과 원활한 기능은 학교적응, 또래관계 맺기와 같은 일상생활의 적응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김세영, 박부진, 2012).

‘자아강도(ego strength)'는 ‘자아강함’ 이라고도 칭하며(정신분석용어사전, 2002) 아동이 사회적 상황에서 어려움을 느낄 때 융통성 있게 대처하기 위한 특성이다(염태호, 김정규, 1990). 자아강도에 대하여 하영윤(1996)은 한 개인이 자신의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에 대하여 적절히 반응하고 대처해 나가며 적응해 가는 내적인 힘의 정도로 보았다. 장희주(1997)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아가 무너지는 것을 막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능력과 자아 수행의 적절성 및 효율성, 자아의 통합 기능의 정도, 자아가 적응적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김세영(2012)은 자아의 통합적 기능의 세기를 말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처럼 자아강도는 자아가 건강히 기능하고 현실에서 유능하게 주도적으로 적응 및 대처해 나가는 힘의 정도로서(염태호, 김정규, 1990; 하영윤, 1996), 아동기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스트레스상황에 대처하는 능력과 바람직한 자아개념 형성과 자아강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ramer, & Gottman, 1992; 정혜진, 정태연, 박미형, 2008 재인용).

아동기 학교생활을 통한 또래관계의 경험은 학교적응 및 자기존중감, 자아강도에 긍정적이거나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강혜랑, 2011; 장재숙, 2002; 차유림, 200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의 4단계에 해당하는 초등 중학년 시기는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근면성, 유능감을 획득하거나 그렇지 못하면 열등감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원만한 또래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중요한 사회적 지지 원천과 자신감을 잃게 되어 부정적 사고, 정서적 불안, 낮은 자아존중감 등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부적응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 시기의 부정적 또래관계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사회적응력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는 관계형성의 실패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될 수도 있다(장재숙, 2002).

이처럼 또래관계가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여러 선행 연구들은 또래관계가 자아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상담을 통해 검증하였다.

김순복(2009)은 교우관계증진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최혜숙과 이현림(2003)은 또래집단상담을 학교 부적응 중학생 32명에게 시행한 결과 자아개념에 긍정적 효과를 보고 하였다. 박혜영과 조성근(2020)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증진 집단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4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대조군 실험을 시행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Bijstra과 Jackson(1998)은 14-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자존감의 향상을 보고 하였다. 또래관계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본 선행연구 중에서 김태희(2005)의 연구에 따르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인관계 증진, 적극적 긍정적 태도로의 변화, 사회성 증진, 자기개념 향상, 자기존중감 향상, 인간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아강도를 독립된 변인으로 또래관계 집단상담에 관한 연구들이 있다(문병상, 2011; 박지영, 2011; 이혜원, 2013).

한편 자아강도는 건강한 발달과 적응은 물론 심리상담 및 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점이 보고되면서, 자아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집단미술치료, 심리극, 모래놀이치료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김세영, 최나야, 2013).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아동기의 다양한 또래관계 집단상담은 아동의 발달, 적응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자아강도의 강화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1>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 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대기자통제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또래관계기술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연구가설2>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대기자통제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자아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방 법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임의표집방법에 의해서 표집 하였다. 연구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초등학교 중에서 학년 인원수가 비슷한 2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을 A, B 2개의 초등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두 4학급에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A초등학교 3, 4학년은 실험집단으로, B초등학교 3, 4학년은 대기자통제집단으로 임의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모두 36명이며 실험집단 19명과 대기자통제집단 17명이며, 연구대상 학생의 구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 학생 구성
구분 학급수 3 학년 4 학년
실험 집단 2 10 9 11 8 19
대기자 통제집단 2 7 10 9 8 17
4 17 19 20 16 36
Download Excel Table
연구설계

또래관계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독립변인은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고 종속변인은 자아강도이다. 본 연구의 실험 설계는 집단(실험 vs 비교) x 시점(사전 vs 사후)의 혼합설계로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실험 설계 모형
실험집단 O1 X O2
대기자 통제집단 O3 O4

X : 실험집단에 대한 처치(또래관계향상 집단상 담 프로그램)

O1 O3 : 사전검사(아동 자아강도 검사, 또래관계기술 검사)

O2 O4 : 사후검사(아동 자아강도 검사, 또래관계기술 검사)

Download Excel Table

실험절차에서 사전검사로는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대기자통제집단에 자아강도 척도와 또래관계기술 척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는 20xx년 6월부터 7월까지 6주간 주 1일에 2회기씩, 소요시간은 매회기 40분으로 총 12회기의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재량수업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해서 실험집단에만 실시하였으며 대기자통제집단에는 아무런 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았다. 연구자와 협의 하에 상담원 2명인 아동청소년상담복지학 석사 1명, 학교폭력예방전문상담사 1명(집단상담 진행 경험 10차례 이상)이 각 교실로 찾아가 두 학급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사후검사가 끝난 후 대기자통제집단에도 똑같은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윤리적인 문제를 보완하였다.

사후검사는 또래관계향상 프로그램을 모두 마치고 일주일 후에 실험집단과 대기자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실험절차는 표 3과 같다.

표 3. 실험 절차
단계 내용 시기 대상
사전검사 자아강도 척도, 또래관계기술 척도 6.10. 실험집단, 대기자 통제집단
실험처치 또래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6.13.~7.22. 실험집단
사후검사 자아강도 척도, 또래관계기술 척도 7.29. 실험집단, 대기자 통제집단
Download Excel Table

본 연구에서는 실험처치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12회기 실시하였다.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제시하면 표 4와 같다.

표 4.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단계 회기 제목 활 동 내 용
만남의 장 -1-
만나서 반가워요
-프로그램 소개
-우리의 다짐, 규칙정하기
*자신과 타인 조망에 대한 인식 체득,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 탐색
-2-
우리 함께해요
활동의 장 -3-
다르다고 틀린것은 아니에요
-수호천사 뽑기
-수호천사 활동들 탐색
-사물을 보는 관점 차이 나누기
* 회기 동안 활동할 수호천사를 뽑고 또래간의 긍정적 도움을 주고받으면서 소중함과 즐거움을 경험하고 배려 욕구를 증진시킴.
* 다름과 틀림의 차이. 상대의 생각이 틀린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르게 볼 수 있음을 인식.
-4-
친구입장 이해하기
-5-
끼리끼리 공놀이
-끼리끼리 공놀이
(안전한 상황 속 왕따경험)
-욕일까 칭찬일까
* 또래들과 집단 활동을 하는 동안 걸림돌이 되는 행동, 디딤돌이 행동들 탐색하고 또래간의 긍정적 활동을 강화
* 걸림돌이 되는 행동들을 찾아 나누고, 변화시키기 위한 자기대화법(잠깐-참-그럼-좋아)을 익힘.
* 잠깐-멈춰봐!, 참-내가 뭘 하는 거지?, 그럼-어떻게 할까?, 좋아!-시작하자! 를 익혀서 걸림돌 행동은 줄이고, 디딤돌 행동을 늘려 배려심 증진.
-6-
욕일까 칭찬일까
-7-
내 감정을 알아줘요
-영상으로 상황보기
-다양한 감정 빙고 게임
-상황극 만들어보기
-상황별 정서적 공감연습
* 영상자료를 보고 상황에 따른 다양한 감정들 이해, 나와 상대방의 감정이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하고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는 연습.
* 역할 수용을 통해 또래친구 마음을 이해하고 표현, 공감하는 표현 방법 익히며 정서적 접촉과 만남을 경험.
-8-
상황극놀이 (놀고폭 무비1)
-9-
상황극놀이 (놀고폭 무비2)
-놀고폭무비 역할극
-자기대화법(잠깐-참-그럼-좋아)익힘.
-수호천사 활동 점검
* 영화 속 상황에서 갈등과 어려움을 대리경험하고, 학급 내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의 감정 공감함.
* 갈등상황을 재구성하여 해결안을 찾아보며 서로 차이점을 수용, 다양성을 인정하며 타인에 대한 존중을 촉진.
-10-
자기대화법 (잠깐-참-그럼-좋아)
결실의 장 -11-
천사를 찾아
-수호천사 활동 나누기
-상장 만들어 시상하기
-소감나누기
* 회기 동안 진행해온 수호천사를 통해 또래간의 긍정적 도움을 주고받는 경험을 나누며 배려 행동에 고마움의 표현 나눔.
* 서로 격려하며 긍정적 피드백을 강화. 혼자보다 서로 함께 배려할 때 긍정적 효과가 더 큼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경험.
-12-
마음나눔 시상식
Download Excel Table
측정도구

또래관계기술 척도.양윤란, 오경자(2005)가 개발하고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총 19문항으로 주도성 9문항과 협동·공감 10문항의 2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도는 Likert 방식의 4점 척도로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전혀 아니다(1점)” 에서 “매우 그렇다(4점)” 으로 되어있다. 평점 척도로 가능한 점수 범위는 주도성의 경우 9점~36점, 협동·공감은 10점~40점이며 총점은 19-76점 사이에 분포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관계기술이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계수는 전체문항이 Cronbach's α =.933이었다. 양윤란, 오경자의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문항구성과 신뢰도는 표 5와 같다.

표 5.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 요인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s α
주도성 9 1, 3, 4, 7, 10, 12, 14, 15, 18 .874
협동·공감 10 2, 5, 6, 8, 9, 11, 13, 16, 17, 19 .900
전체 또래관계기술 19 - .933
Download Excel Table

아동 자아강도 척도(ESSC : Ego Strength Scale for Children).김세영(2012)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아강도 척도는 4요인 26문항의 위계적 구조를 통해 자아강도를 측정하며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전혀 아니다(1점)” 에서 “매우 그렇다(5 점)” 으로 되어있다. Likert 방식의 5점척도로 구성된 척도의 총점은 26-130점 사이에 분포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강도가 강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 =.971이었다.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문항구성과 신뢰도는 표 6과 같다.

표 6.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 요인 문항수 문항 번호 Cronbach's α
유능성 7 1~7 .909
주도성 7 8~14 .961
탄력성 6 15~20 .866
사회성 6 21~26 .883
전체 자아강도 26 - .971
Download Excel Table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자아강도와 또래관계기술의 기술 통계치를 실험집단과 대기자통제집단 별로 구하였다. 둘째, 사전검사에서의 실험집단-대기자통제집단에 따른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강도, 또래관계기술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가설검증을 위해 실험집단-대기자통제집단의 사전검사-사후검사에 따른 자아강도, 또래관계기술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하기 전에 또래관계기술에 있어서 동질의 집단인지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 간 사전검사 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 또래관계기술 사전검사에 대한 검증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집단별 또래관계기술 사전검사 t-test 결과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p
주도성 실험 19 2.75 .751 -1.403 .170
대기자통제 17 3.15 .940
협동·공감 실험 19 3.37 .841 -.198 .844
대기자통제 17 3.43 .848
전체 또래관계기술 실험 19 3.08 .699 -.843 .405
대기자통제 17 3.30 .843
Download Excel Table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단별 또래관계기술 사전검사 t-test 결과 주도성, 협동·공감, 전체 또래관계기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실험집단, 대기자통제집단은 동질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하기 전에 자아강도에 있어서 동질의 집단인지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 간 사전검사 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 자아강도 사전 검사에 대한 검증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집단별 자아강도 사전검사 t-test 결과
집단 n 평균 표준 편차 t p
유능성 실험 19 3.28 .751 -1.904 .065
대기자통제 17 3.84 1.014
주도성 실험 19 2.38 1.299 -1.478 .149
대기자통제 17 3.02 1.266
탄력성 실험 19 2.80 .871 -1.444 .158
대기자통제 17 3.23 .903
사회성 실험 19 2.62 .936 -1.323 .195
대기자통제 17 3.05 .996
전체 자아강도 실험 19 2.78 .916 -1.624 .114
대기자통제 17 3.29 1.000
Download Excel Table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단별 자아강도 사전검사 t-test 결과는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 전체 자아강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실험집단, 대기자통제집단은 동질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또래관계기술을 향상시키고, 이로 말미암아 아동들의 자아강도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또래관계기술의 향상 부분과 자아강도 증진 부분으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실험집단과 대기자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반복측정분산분석(RM ANOVA)을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또래관계기술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는지를 살펴본 검증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 또래관계기술 사전-사후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변인 집단 사전 사후 F P Effect Size f
주도성 실험 24.789±1.746 33.368±1.996 21.370a <0.001 0.792
통제 28.353±1.846 27.824±2.111 0.073a 0.789
협동 공감 실험 33.737±1.936 41.842±1.856 16.277a <0.001 0.692
통제 34.294±2.047 32.000±1.962 1.167a 0.033
전체 또래 관계 기술 실험 58.526±3.358 75.211±3.698 21.164a <0.001 0.789
통제 62.647±3.550 59.824±3.909 0.542a 0.467 0
Download Excel Table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또래관계기술의 효과크기는 .789로 도출되었으며 F수치를 확인하면 F=21.164이고, p<.001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가 점수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위척도 주도성 척도의 효과크기는 .792(F=21.370, p<.001)이며, 협동·공감 척도의 효과크기는 .692(F=16.277, p<.001)이다.

scs-3-1-1-g1
그림 1. 또래관계기술 주도성(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scs-3-1-1-g2
그림 2. 또래관계기술 협동·공감(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scs-3-1-1-g3
그림 3. 전체 또래관계기술(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자아강도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는지를 살펴본 검증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자아강도 사전-사후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변인 집단 사전 사후 F P Effect Size f
유능성 실험 22.947±1.420 30.000±1.071 24.958a <0.001 0.856
통제 26.882±1.501 26.059±1.132 0.304a 0.585
주도성 실험 16.684±2.061 27.474±1.548 28.342a <0.001 0.895
통제 21.118±2.179 21.647±1.637 0.061a 0.806
탄력성 실험 16.789±1.220 22.632±1.104 18.358a <0.001 0.735
통제 19.253±1.289 19.529±1.167 0.015a 0.903
사회성 실험 15.737±1.328 22.579±1.207 22.865a <0.001 0.819
통제 18.294±1.404 17.882±1.276 0.074a 0.787
전체 자아 강도 실험 72.158±5.707 102.684±4.288 29.574a <0.001 0.932
통제 85.647±6.033 85.118±4.534 0.008a 0.929
Download Excel Table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자아강도의 효과크기는 .932로 도출되었으며 F수치를 확인하면 F=29.574이고, p<.001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가 점수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위척도 유능성 척도의 효과크기는 .856(F=24.958, p<.001)이며, 주도성 척도의 효과크기는 .895(F=28.342, p<.001)이다. 탄력성 척도의 효과크기는 .735(F=18.358, p<.001)이며, 사회성 척도의 효과크기는 .819(F=22.865, p<.001)이다.

scs-3-1-1-g4
그림 4. 자아강도 유능성(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scs-3-1-1-g5
그림 5. 자아강도 주도성(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scs-3-1-1-g6
그림 6. 자아강도 탄력성(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scs-3-1-1-g7
그림 7. 자아강도 사회성(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scs-3-1-1-g8
그림 8. 전체 자아강도(사전-사후)
Download Original Figure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이 실제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들의 또래관계기술, 자아강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실험처치 후 연구 결과,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자아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들에게 또래관계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효과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유능감을 경험하게 하고 자아강도를 높여줌으로써 건강한 자아상을 만들고,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매우 유용함을 시사한다.

둘째,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대기자통제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또래관계기술(주도성, 협동·공감) 및 자아강도(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강도가 감정조절 및 문제해결능력,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상관이 있다는 김세영과 최나야(20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황마다 적절한 사회적 기술을 익혀 나가게 되어 아동의 성격, 사회성, 정서, 인지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송명자(1995)의 선행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지지하는 여러 선행연구와도 많은 부분 일치한다. 또래관계 증진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김순복(2009), 유병숙(2003)의 선행연구와 부분 일치한다. 최혜숙과 이현림(2003)의 선행연구에서는 대상 학년의 차이는 있으나 또래 간 집단상담을 통하여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긍정적 효과를 보고한 바와 일치한다. 최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박혜영과 조성근(2020)의 선행연구에서 또래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점과 일치한다.

또한, 초등학생 대상의 집단상담은 아동들의 사회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송외순(2002)이광희(2003)의 선행연구와도 일치하며 초등학교 아동의 집단상담 경험은 아동들의 자기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오경준(2000), 전승배(2000), 김태희(2005)의 선행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 이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또래관계기술의 향상 및 자아강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험 처치했던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신뢰할만한 처치도구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하였던 척도 중에서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결과는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 사용되었던 처치도구(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가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말할 수 있다.

넷째, 자아강도의 하위요인 중에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재구성 단계에서 대상에 알맞은 요소들을 넣어 구성한 점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놀이처럼 모둠원이 다함께 움직이며 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모둠원 모두가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활동과 동요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목표를 전달하는 방법, 즉흥 상황극, 회기 진행되는 동안 또래간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꾸준히 나눌 수 있는 시간 확보 등의 결과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최명선, 정유진, 서은미(2012)의 연구에서 아동의 집단치료의 이점으로 아동에게 자발성을 증진시켜 참여수준을 높여주며, 또래의 피드백으로부터 자기 성장과 자기 탐색을 위한 기회를 얻는다는 내용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와도 일맥상통한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주도성, 협동·공감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에서도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 3, 4학년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자아강도 및 그 하위요인들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효과는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또래관계나 자아강도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한 것이 아니라 일반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대기자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기 때문에 연구 설계의 한계가 있으며 점수 향상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의 척도가 모두 자기보고식 검사로 진행되어져 그 결과를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기자통제집단에게 차후 동일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던 점은 들 수 있다. 흔히 실험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처치집단과 달리 통제집단은 실험과정에서 다른 대우를 받는다는 느낌 때문에 박탈감을 경험할 수 있다. 통제집단에 대해서 자료수집이 끝난 후에 가능하다면 동일한 훈련이나 프로그램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김석우, 최태진, 2007). 대부분 실험연구에서 실험집단에는 처치를 하고, 그렇지 않은 집단에는 통제를 한 뒤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에서는 사후검사가 끝난 후 대기자통제집단에도 똑같은 프로그램인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윤리적인 문제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실험대상 학교 측에서 집단상담 요청이 있어서 진행하다 보니 12회기 진행에 무리가 없었으며 또래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었으나 실제 학교현장에서 수업시간에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학교현장에서 부담 없이 진행이 가능하도록 이 프로그램을 축약한 4~5회기의 단기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장면에서 활용이 쉽도록 도울 필요가 있겠다. 초등학교에서 수업시간에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할 경우 아동의 또래관계기술과 자아강도를 높여줌으로 건강한 자아상을 만들고, 상호간의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 건강한 학교생활을 하는데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이 든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초등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연구한바 초등학교 저학년이나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다. 대상의 연령을 고려한 자아강도 향상에 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변화된 또래관계 척도 및 자아강도 척도가 모두 질문지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되므로 그 효과가 실제 행동에까지 변화되었다고 판단하기에는 주의를 요한다. 후속연구에서는 교사나 관찰자가 행동 관찰하는 측정도구도 함께 사용하여 더욱 연구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Notes

본 연구는 이혜경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청소년상담복 지개발원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2008)을 대상에 맞게 일부 수정·보완하였다.

참고문헌

1.

강상무 (1999). 심리극 집단 상담이 청소년의 자아강도와 대인간 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영향:여고생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8210473

2.

강혜랑 (2011).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또래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2282343

3.

권현미 (2010). 대학생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강도,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907274

4.

김석우, 최태진 (2007).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 학지사.

5.

김세영 (2012).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2676995

6.

김세영, 박부진 (2012). 아동의 자아강도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및 척도개발 요구조사.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치료연구, 10, 1-14.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074371

7.

김세영, 최나야 (2013).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타당화 및 규준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7(1), 1-2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51306

8.

김순복 (2009). 교우관계증진 집단상담이 외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공감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791016

9.

김윤주 (2006). 성격심리학. 서울 : 현학사.

10.

김윤경, 이옥경 (2001). 아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따른 심리사회학적 적응과 행동특성.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4(2), 65-82.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74906

11.

김재환 (1986). Bellak의 모형에 따른 자아기능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49307

12.

김태희 (2005).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9805731

13.

노안영, 강영신 (2003). 성격심리학 : 인간 이해 및 성장을 위한. 서울 : 학지사.

14.

마정건 (1984). 집단상담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공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3, 85-102. http://www.riss.kr/link?id=A2056322

15.

문병상 (2011). 도덕민감성, 도덕동기, 도덕판단, 자아강도와 도덕행동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11, 1-18. DOI :

16.

미국정신분석학회 (2002). 정신분석 용어사전. (이재훈 역) 서울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7.

박지영 (2011).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사회불안과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2379308

18.

박혜영, 조성근 (2020). 중학생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구조화된 집단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청소년학연구, 27(2), 197-223. DOI :

19.

송명자 (1995). 발달심리학. 서울 : 학지사.

20.

송외순 (2002). 자기성찰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친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8370675

21.

송종희 (1997). 집단상담이 자아강도수준에 따라 대인관계 갈등해결방식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7486839

22.

신행우, 김재환 (1992). Barron의 자아강도척도의 표준화 연구. 정신건강연구 11(8), 187-214. https://kmbase.medric.or.kr/KMID/0376519920110010187

23.

염태호, 김정규 (1990). 다요인 인성검사 검사요강. 서울 : 한국가이던스.

24.

양윤란, 오경자 (2005).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개발 : 초등학교 4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961 – 971. http://www.riss.kr/link?id=A100627104

25.

오경준 (2000).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0828920

26.

유병숙 (2003).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8959699

27.

이광희 (2003).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개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8664791

28.

이장호, 김재환 (1982). 상담효과측정을 위한 자아강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임상심리학회지 : 임상, 3(1), 173-185.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70534

29.

이혜원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양육 참여도가 자아강도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3203153

30.

장재숙 (2002). 아동의 친구와의 대인관계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9647254

31.

장희주 (1997). 자아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청소년의 비행수준과의 관계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5200495

32.

전승배 (2000).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학습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10828919

33.

정옥분 (2009).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 학지사.

34.

정혜진, 정태연, 박미형 (2008). 어머니와 아동의 성격특성이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2008(1), 98 – 99.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77511

35.

차유림 (2001).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7915277

36.

최명선, 정유진, 서은미 (2012).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 돕기. 아담북스.

37.

최혜숙, 이현림 (2003).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01-216.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69403

38.

하영윤 (1996). 대학생의 자아강도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4857982

39.

한기환 (1999). 아동기의 자아강도와 성역할지각 및 방어기제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7112726

40.

Bijstra, J. O., & Jackson, S. (1998). Social skills training with early adolescents: Effects on social skills, well-being, self-esteem and coping.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3(4), 569-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