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

신혜진1,, 박문희2
Hye-Jin Shin1,, Moon-Hee Bak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성거초등학교 전문상담사
2맑은마음상담센터 수석상담사
1Seonggeo Elementary School
2Clear Mind Counseling Center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 신혜진, (31046)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소댕이 3길 606-21, 성거초등학교 전문상담사, Tel : 010-6456-2265, E-mail : shins0422@hanmail.net

© Copyright 2021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andpla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14, 2020; Revised: Oct 22, 2020; Accepted: Nov 12, 2020

Published Online: Dec 10, 2020

국문초록

본 연구는 취약계층이 많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에게 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공립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인근 중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8명의 여학생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래놀이 집단상담은 주 1회, 50분씩 총 10회로 실시하였다. 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한국판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K-YSR)를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래놀이 집단상담 실시 후 Baseline에 비해 문제행동 총점(z = -2.366, p = .018), 내재화(z = -2.103, p = .035), 외현화(z = -2.371, p = .018), 사고 문제(z = -2.226, p = .026)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정서·행동문제에 있어 효과가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by conducting group counseling on local children's centers with many vulnerable social groups. The study consists of eight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public children's center in C, Chungcheongnam-do, attending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a nearby middle school. Group counseling for sand pla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10 times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on sand play, the difference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pre- and post-test,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The total score of problem behavior (z = -2.366, p = .018), and internalization (z = -2.103, p = .035) compared to baseline after conducting collective consultation on sand play, externalization (z = -2.371, p = .018), Accidental Problem (z = -2.226, p = .026)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group counseling of sand play is effective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r teenagers at local children's centers.

Keywords: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정서·행동 문제; 모래놀이 집단상담
Keywords: Local children's centers; you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sand play; group thrapy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는 의학적, 임상적 장애와 심리·정서적 행동문제가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정신건강문제는 개인의 내적인 요소와 유전적 소인 등과 부모의 양육태도, 대인관계, 환경적 요인과 공공정책 등의 다양한 경로가 건강한 정신적 발달을 증진하거나 저해한다고 보고 있다(국립정신건강센터, 2015).

우리나라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비율은 선진외국에 비해 높으며 고위험군의 정서 및 행동 문제 위험률도 약 20%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11). 안동현(2009)에 따르면 청소년기의 정신장애 및 문제행동은 흔하게 발생하고 정신의학적으로 진단을 내릴 정도로 심한 형태의 문제는 전체 일반 아동·청소년의 약 8~10%를 차지한다. 유형별로 보면 ADHD비율이 13.3%, 불안장애는 23%, 우울증은 7.4%였으며, 최소 1가지 이상의 정신 질환을 가지고 있는 소아청소년의 비율이 전체의 26%였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청소년기의 정서나 문제행동은 학령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생 동안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특히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경우 대부분 경제적 빈곤 또는 가정환경으로 인한 사회적 돌봄의 필요성이 있는 학생의 분포가 가장 크다(주애자, 2020). 빈곤 아동들은 항상 경제적 긴장상태에 놓여 있으므로 심리적인 불안상태가 인성구조의 중심을 이루게 되어 소극적 태도, 긴장, 불안이 조장되고, 계속적인 행동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박종란, 2012).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 중에는 우울감이나 자존감 등과 같은 심리적 측면의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황윤미, 2017), “일반아동에 비해 폭력, 공격적 행동 등과 같은 외현적 문제행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강명순, 2007; 류정아, 2017에서 재인용).

따라서 아동·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과 예방적 차원의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이명복, 김은정, 2020). 최근 미술, 독서, 음악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집단상담과 함께, 집단모래놀이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박혜영, 조성근, 2020).

모래놀이치료는 Kalff가 1950년대 심리치료기법으로 사용하면서 발전시켜왔다. 모래놀이치료는 정서와 행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에게 감정을 놀이와 상징적 활동을 통해 표현할 “자유롭고 보호된 공간”을 제공하며, 아동들은 이 “자유롭고 보호된 공간”에서 자신의 내적인 감정을 표현하며 처리할 수 있게 된다(Goss & Campbell, 2004). 모래놀이치료는 자신의 심리적 상황을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신체와 모래의 접촉만으로도 치유적 의미가 있기 때문에 아동‧청소년에게 매우 적합한 심리치료 도구이다(곽희은, 2019).

모래놀이를 활용한 집단상담은 내담자의 불만이나 불안, 심리적인 긴장감을 해소하고 정서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한다(김미형, 2008). 또한 안정감을 주는 모래놀이치료와 집단의 상호작용으로 아동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자아발달뿐 아니라 사회성 발달을 촉진한다(강선희, 2010).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모래놀이상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2~6학년에 재학 중인 4명을 대상으로 한 집단모래상자 놀이치료가 분노조절 및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 연구가 있다(한지혜, 2008). 이효선(2009)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 이혼가정 1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또래관계 기술 증진과 행동문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다. 권효주(2013)의 연구에서도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 중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개념 증진에 영향이 있었다고 하였다.

이처럼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모래놀이 집단상담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 ‧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의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2>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의 청소년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방 법

연구대상 및 절차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공립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인근 중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여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YSR 학생평가와 지역아동센터 교사회의에서 여학생 가운데 집단상담이 필요해 보이는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생 중 2명의 학생은 중도에 퇴소를 하였고 2명의 학생은 잦은 결석과 사후검사 미실시로 통계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대상군은 8명의 여학생으로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집단 N(%) 나이
평균 표준편차 범위
모래 놀이 집단 0 (0) 8 (100) 13.58 0.53 13~14
Download Excel Table

모래놀이 집단상담은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12주 동안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운영은 주 1회, 회기 당 50분으로 구성되었고, 3~4명을 한 그룹으로 나누어 총 3개 그룹이 정해진 요일과 정해진 시간에 진행하였다. 한 그룹이 3~4명으로 각자의 상자를 꾸몄고 상자에 대한 감상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서 1개의 집단에 1인의 상담자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Baseline 평가, 모래놀이 집단상담 10회기, 사후 평가로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연구설계 및 프로그램 구성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구성하였고, 연구의 설계는 표 2와 같다.

표 2. 연구 설계
하위집단 사전 실험처치 사후
실험집단 O1 X O2
Download Excel Table

프로그램 구성은 곽현정(2017)의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지역아동센터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표 3과 같고 회기별 진행과정은 표 4와 같다.

표 3. 모래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 내용
회기 흐름 프로그램의 내용
1 접촉 마음 여정의 출발. 자유롭게 표현하기
2 탐색1 (감정) 짜증, 화나게 하는 일과 즐거움, 행복감 등 기본감정을 느끼고 표현하기
3 탐색2 (기억상처) 겪었던 사건과 상황을 떠올리고 그때 느낀 밑 감정 나누기
4 움직임1 (갈등,투쟁) 부정적 정서, 감정-짜증, 화, 분노, 슬픔, 외로움과 만나기
5 움직임2 (선택)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부정적인 것과 긍정적인 것 등 나의 갈림길 표현하기
6 수용1 (관계) 친구, 학교, 가족을 생각하며 떠오르는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기
7 수용2 (나) 그동안 표현한 작품을 ‘나’라는 제목으로 모두 통합하여 표현하기
8 탄생 새로운 나, 미래의 나를 상상하고 성장하고 성숙한 ‘나’를 표현하기
9 내 마음 서로의 생각 공감하고 존중하기
10 미래의 내 모습 하고 싶고 되고 싶은 목표 생각해보기
Download Excel Table
표 4. 모래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 진행과정
진행 내용 시간
50분
1회기 2~10 회기
도입 - 모래놀이 집단상담 소개(1회기)
- 모래놀이 집단상담 규칙정하기(1호기)
10분 x
- 심리적 이완을 위한 모래를 탐색한다.
- 내면을 집중하기 위한 명상을 한다.
5분 5분
활동 - 명상 후 마음의 준비가 된 집단원은 피규어 탐색시간을 갖는다.
- 매 회기 주어진 주제를 생각하며 마음과 눈과 손이 이끄는 대로 피규어를 선택하여 모래상자를 꾸민다.
- 모래상자 꾸미기가 끝난 집단원은 다른 집단원이 모래상자 꾸미기가 끝날 때까지 본인의 상자를 바라보며 기다린다.
20분 20분
나눔 - 순서를 정하여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 본인의 모래상자에 대하여 느낌, 생각, 이야기를 자유롭게 한다.
- 모래상자 소개가 끝난 후 궁금한 것에 대해 서로 묻고 답한다.(마음에 드는 피규, 감정)
- 꾸민 모래상자가 현재의 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25분 25분
Download Excel Table
측정도구

한국판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Achenbach와 Edelbrock은 1983년 아동,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YSR을 개발하였다. 국내에서는 1998년에 하은혜, 이수정, 오경자, 홍강의가 K-YSR을 표준화시켰다. K-YSR은 총 119문항이며 3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문제행동증후군 척도는 증후군 소척도 8개와 기타문제와 하위척도의 합으로 구성된 상위척도인 내재화, 외현화, 총 문제행동 점수(문제행동총점)로 구성되어있다. 신뢰도는 Cronbach's α = .954로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Cronbach's α)는 .944로 측정되었다.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를 실시했다. 둘째, 각 척도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했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s signed-ranks test를 실시했다.

결 과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s signed-ranks 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비교(Wilcoxon’s signed-ranks test)
구분 하위 척도 N 사전평균 사후평균 Z p
문제행동 증후군척도 문제행동 총점 8 53.38 42.88 -2.366 .018*
내재화 8 50.50 43.63 -2.103 .035*
외현화 8 54.50 44.13 -2.371 .018*
증후군 소척도 불안/우울 8 55.13 54.88 -.535 .593
위축/우울 8 57.63 53.88 -1.826 .068
신체증상 8 54.25 52.75 -.730 .465
사회적 미성숙 8 54.25 54.88 -.378 .705
사고문제 8 60.75 52.75 -2.226 .026*
주의집중 문제 8 53.88 51.00 -1.604 .109
규칙위반 8 58.00 53.00 -1.826 .068
공격행동 8 55.00 52.13 -1.633 .102
기타문제 8 53.13 51.13 -1.342 .180

* p<.05,

** p<.01,

*** p<.001

Download Excel Table

K-YSR의 상위척도인 문제행동총점, 내재화, 외현화를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총점은 평균점수가 53.38에서 42.88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z = -2.366, p = .018). 내재화는 평균점수가 50.50에서 43.63으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z = -2.103, p = .035), 외현화 역시 평균점수가 54.50에서 44.13으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z = -2.371, p = .018). 마지막으로, 사고 문제도 평균점수가 60.75에서 52.75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z = -2.226, p = .026).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내재화 문제의 평균 점수는 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실시한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곽현정(2017)이 초등학교 4~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정서와 행동에 임상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것과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정서적, 심리적 감정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시기에 손을 이용한 모래놀이는 정서적, 심리적으로 억압된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기회를 제공받아서 완화시켜 긍정적인 에너지로 바뀌는데 도움을 준 것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내재화의 하위척도인 불안/우울(z = -.535, p > .05)과 위축/우울(z = -1.826, p > .05)은 평균점수가 사후에 다소 감소하긴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완주(2006)는 아동의 경우 자신의 기분이 우울하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행동문제로 나타내므로, 행동기 전에 우울감정이 내재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자기보고에서 우울과 불안이 잘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둘째,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총점은 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실시한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외현화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양예슬(2013)은 모래놀이상담이 농촌조손가정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주의집중력, 사고 문제 등이 행동문제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외현화의 하위척도인 규칙위반(z = -1.826, p > .05)과 공격행동(z = -1.633, p > .05)은 평균점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집단상담에 참여한 청소년 개인의 성향과 가정적 요인 및 기타 외부요인을 파악하지 않고 실시한 집단상담이고 단회기로 청소년의 행동변화를 기대하는 것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1곳의 지역아동센터의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총 8명의 소 표본수로 진행했기 때문에 다소 일반화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둘째, 청소년에 대한 추후 검사를 하지 않아 긍정적인 행동변화의 지속성에 대한 결과가 부족했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를 양적 분석으로 평가했고, 질적 분석은 실시하지 못했다. 질적 분석을 함께 실시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효과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회기가 짧았기 때문에 외현화의 하위척도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악, 미술, 독서 등의 매체를 활용한 집단상담 선행연구들은 다수 존재하지만, 모래놀이 집단상담은 미비하다는 점에서 모래놀이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참 고 문 헌

1.

강명순 (2007). 한국의 빈곤아동과 지역아동센터 법제화에 관한 이론과 실천. 부스러기

2.

강선희 (2010). 집단모래상자놀이 프로그 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138694

3.

곽현정 (2017).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행동에 미치는 임상효과.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4581846

4.

곽희은 (2019). 모래놀이치료가 학령기 입양 아동의 외현화 행동문제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5483647

5.

국립정신건강센터 (2015). 지역사회 정신건강 고위험군 아동청소년 추적관리 연구.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https://www.ncmh.go.kr:2453/ncmh/board/commonView.do?no=1466&fno=84&depart=&menu_cd=04_03_00_01&bn=newsView&search_item=1&search_content=지역사회정신건강&pageIndex=1

6.

권효주 (2013). 지시적 집단모래상자놀이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401006

7.

김미형 (2008). 모래상자놀이가 장기보호 시설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450204

8.

류정아 (2017). 지역아동센터 문화활동에 참여한 빈곤 아동청소년의 몰입과 우울 및 공격성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4569540

9.

박완주 (2007). 문학치료적 중재가 결손가정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0929979

10.

박종란 (2012) 빈곤아동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856108

11.

박혜영, 조성근 (2020). 중학생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구조화된 집단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청소년학연구, 27(2), 197-223.

1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11). 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274852&page=1

13.

안동현 (2009). 청소년 정신건강장애. 대한의사협회지, 52(8), 745-75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67261

14.

양예슬 (2014). 모래놀이치료가 농촌조손가정 아동의행동문제와 자아존중감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519766

15.

이명복, 김정은 (2020).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정서‧행동 문제에 미치는 효과.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2(1), 1-13. http://www.schoolsandplay.or.kr/

16.

이효선 (2010). 집단 모래놀이치료가 이혼가정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증진과 행동문제 감소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220079

17.

주애자 (2020).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해결중심치료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5649201

18.

하은혜, 이수정, 오경자, 홍강의 (1998). 문제행동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부모 평가간의 관계: -CBCL과 YSR의 하위요인 구조 비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9(1), 3-12.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058940

19.

한지혜 (2008).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 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224424

20.

황윤미 (2017). 아동의 우울이 공격성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의 조절효과. 임상사회사업연구, 14(1), 51-70. https://www.earticle.net/Article/A298535

21.

Goss, S., & Campbell, M. A. (2004). Value of Sandplay as a Therapeutic Tool for School Guidance Counsellors. Journal of Psychologists and Counsellors in School, 14(2), 211-232.